본문 바로가기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표

홀리몰이 2025. 9. 29.
반응형

건설업계와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에게 가장 중요한 기준 자료 중 하나가 바로 노임단가표입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단가표가 발표되면서 현장 관리자부터 견적 담당자까지 모든 실무진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어요.

이번 하반기 단가표는 최저임금 인상과 물가 상승, 그리고 심각한 인력 부족 현상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전년 대비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는 크게 건설업과 엔지니어링업으로 나뉘어 발표됩니다. 건설업 분야는 약 150여 개 직종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각 직종마다 작업 난이도와 위험도, 숙련도에 따라 차등 적용되고 있어요.

 

건설업 주요 직종 분류:

  • 토공사 관련: 굴삭기운전원, 덤프트럭운전원, 로더운전원
  • 구조공사 관련: 철근공, 콘크리트공, 거푸집공, 비계공
  • 마감공사 관련: 타일공, 도장공, 미장공, 방수공
  • 설비공사 관련: 배관공, 전기공, 통신공, 보온공
  • 특수공사 관련: 용접공, 크레인운전원, 잠수공

 

 

하반기 노임단가표에서 가장 높은 단가를 받는 직종은 잠수공과 고소작업 전문가들입니다. 위험도가 높고 전문성이 요구되는 작업일수록 단가가 높게 책정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에요.

엔지니어링 분야는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등 자격증 등급에 따라 단가가 결정되며, 전문 분야별로도 세부 구분되어 있습니다.

 

 

 

하반기 노임단가표 - 건설업 핵심 직종별 상세 단가

하반기 노임단가표에서 건설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핵심 직종들의 세부 단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단가들은 실제 현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적용되는 기준이에요.

 

 

토공사 관련 직종:

  • 굴삭기운전원 (0.8㎥급): 312,450원
  • 덤프트럭운전원 (11톤급): 298,760원
  • 로더운전원 (3㎥급): 289,340원
  • 불도저운전원: 305,680원
  • 롤러운전원: 276,890원

 

구조공사 관련 직종:

  • 철근공: 246,818원
  • 콘크리트공: 271,443원
  • 거푸집공: 265,720원
  • 비계공: 279,613원
  • 조적공: 258,940원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에서 주목할 점은 기계 운전 관련 직종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가를 받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숙련된 장비 운전자의 부족과 안전 관리의 중요성이 반영된 결과예요.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 - 마감공사 및 설비공사 단가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에서 마감공사와 설비공사 분야는 전문성에 따라 상당한 단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마감공사 관련 직종:

  • 타일공: 267,890원
  • 도장공: 234,560원
  • 미장공: 245,780원
  • 방수공: 289,670원
  • 유리공: 298,450원
  • 석공: 312,890원

 

설비공사 관련 직종:

  • 배관공: 278,940원
  • 전기공: 285,670원
  • 통신공: 292,340원
  • 보온공: 256,780원
  • 덕트공: 267,450원

하반기 노임단가표를 보면 방수공과 석공의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되어 있는데, 이는 작업의 난이도와 품질이 건물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하반기 노임단가표 - 엔지니어링 분야 전문직종

하반기 노임단가표에서 엔지니어링 분야는 건설업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단가를 보여주고 있어요. 전문 지식과 기술력이 핵심인 분야인 만큼 자격증과 경력에 따른 단가 차이가 명확합니다.

 

건축 분야 엔지니어링:

  • 건축기술사: 470,112원
  • 건축구조기술사: 485,670원
  • 건축기사: 387,450원
  • 건축산업기사: 298,760원
  • 건축설계 전문가: 445,890원

토목 분야 엔지니어링:

  • 토목기술사: 465,780원
  • 구조기술사: 478,920원
  • 토목기사: 382,340원
  • 측량기사: 356,780원
  • 지질및지반기술사: 492,560원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원자력 분야 기술사들의 단가입니다. 원자력기술사의 경우 555,000원으로 전체 직종 중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요.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 - 특수 전문직종 및 고위험 작업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에서 가장 높은 단가를 받는 직종들은 대부분 고위험 작업이나 특수 전문 기술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고위험 특수 직종:

  • 잠수공 (수중작업): 450,000원
  • 고소작업 전문가: 398,760원
  • 폭파작업원: 425,680원
  • 크레인운전원 (대형): 356,890원
  • 터널굴진공: 378,450원

전문기술 직종:

  • 용접공 (특수용접): 345,670원
  • 비파괴검사원: 389,450원
  • 품질관리원: 298,760원
  • 안전관리원: 287,340원
  • 환경측정원: 312,890원

하반기 노임단가표에서 이러한 특수 직종들의 높은 단가는 인력 확보의 어려움과 작업의 위험성, 그리고 전문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입니다.

 

 

 

 

 

하반기 노임단가표 - 지역별 차등 적용 기준

하반기 노임단가표는 전국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별로 차등 적용됩니다. 이는 지역별 물가 차이와 인력 수급 상황을 반영한 것이에요.

권역별 가산율 적용:

  • 수도권 (서울, 인천, 경기): 100~105%
  • 부산, 대구, 광주 등 광역시: 95~100%
  • 일반 시지역: 90~95%
  • 군지역: 85~90%
  • 도서산간 지역: 110~120%

특별 가산율 적용 지역:

  • 제주도: 115% (물류비용 반영)
  • 울릉도: 120% (접근성 고려)
  • 백령도: 118% (특수성 반영)
  • DMZ 인근: 110% (작업 제약 고려)

예를 들어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에서 철근공의 기본 단가가 246,818원이라면, 제주도에서는 283,841원, 울릉도에서는 296,182원이 적용되는 것이죠.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 - 전년 대비 변동 분석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는 2024년 하반기 대비 평균 3.8%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직종별로 보면 상승폭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요.

높은 상승률을 보인 직종:

  • 크레인운전원: 6.2% 상승
  • 용접공: 5.8% 상승
  • 비계공: 5.4% 상승
  • 전기공: 5.1% 상승
  • 배관공: 4.9% 상승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

  • 단순노무자: 2.1% 상승
  • 청소원: 2.3% 상승
  • 경비원: 2.5% 상승
  • 일반사무원: 2.8% 상승

하반기 노임단가표에서 기술직과 전문직의 상승률이 높은 것은 숙련 인력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하반기 노임단가표 - 실무 활용 시 주의사항

하반기 노임단가표를 실무에 적용할 때 놓치기 쉬운 중요한 사항들을 정리해드릴게요.

단가 적용 시 필수 확인사항:

  • 직종코드 정확성: 유사한 직종명이라도 코드가 다르면 단가 차이
  • 적용 기간: 2025년 9월 1일부터 적용 시작
  • 계약서 조항: 단가 변동 시 조정 조항 확인
  • 세무 처리: 인건비 증가에 따른 세무 영향

견적 작성 시 고려사항:

  • 법정수당 포함 여부 (주휴수당, 연차수당 등)
  • 4대 사업주 부담분
  • 퇴직금 충당금
  • 복리후생비
  • 교육훈련비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는 기본 일급만을 제시하므로, 실제 인건비 산정 시에는 이러한 부대비용까지 모두 고려해야 정확한 계산이 가능합니다.

 

 

 

 

2025년 하반기 노임단가는 건설업계와 엔지니어링 분야의 임금 기준을 제시하는 핵심 자료입니다. 단순히 일급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넘어, 프로젝트 전체의 인건비 구조를 파악하고 경쟁력 있는 견적을 작성하는 데 활용해야 해요.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체크리스트:

  • 프로젝트별 투입 직종과 인원 정확히 파악
  • 지역별 가산율 반드시 적용
  • 각종 법정수당과 부대비용 포함 계산
  • 전년 대비 상승률을 고려한 장기 계획 수립
  • 정기적인 단가 업데이트 시스템 구축

 

 

하반기 노임단가표의 변화는 업계 전반의 인력 수급 상황과 임금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향후 인력 운영 전략을 수립하고,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요.

 

앞으로도 매 반기마다 발표되는 노임단가표를 꼼꼼히 분석하고, 변화하는 업계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단가 적용은 프로젝트 성공의 첫걸음이자, 지속 가능한 사업 운영의 핵심 요소입니다.

 

반응형

댓글